2023년 6월 출시 된 청년도약계좌는 만19 ~ 34세 청년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자산증식 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특징과, 가입조건,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특징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는 자유적립식 적금으로, 최대6% 정부기여금,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 5년간 더해지는 은행 이자를 기대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1) 가입 연령 조건
계좌개설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군복무 등 병역이행을 했을 경우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하고 그만큼 기간이 늘어남
*군복무 2년 가정 시 만 36세도 가입 가능
2) 가입 소득 조건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인 경우
3) 가구소득 조건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4) 금융소득종합과세
가입일 직전 3년 동안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다면 가입 불가
2024년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계좌개설 방법
'24. 1. 29. 기준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아해 11개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 가능합니다.
(국민 신한 우리 농협 하나 기업 부산 광주 경남 전북 대구)
1) 가입신청 : 매월 청년도약계좌 상품을 취급하는 은행 앱을 통해 가입신청
2) 가입심사 : 은행에서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해 가입요건에 해당하는 지 확인하고 통보
*약 2주 소요
3) 계좌개설 : 취급은행
총 3단계로 진행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유의점
24년 청년도약계좌의 비과세 요건 일부 개선으로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한 청년의 경우
중도해지를 한다해도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다만, 이자소득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만 비과세를 해주는 것이지
정부기여금에 대한 부분은 전액 환수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가입 전 최대 5년 동안 해지 없이 완납할 수 있는지 체크하고 가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치며
여유가 없다면 무리하게 70만원을 채운다기 보다 더 적은 금액을 납입하더라도 해지 없이 완납하는 것을 목표로 접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번에는 더욱 흥미로운 재테크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